지나리 부부 산방
한강기맥 12구간(배넘이고개-대부산삼거리-마유산활공장-마유산-소구니산-농다치고개-옥산-말머리봉-말고개-된고개) 본문
한강기맥 12구간(배넘이고개-대부산삼거리-마유산활공장-마유산-소구니산-농다치고개-옥산-말머리봉-말고개-된고개)
無碍人 2017. 12. 25. 20:512017년 12월 25일 월요일 맑음 나홀로
"난 사람의 얼굴을 봤을 뿐, 시대를 보지 못했소.파도만 봤을 뿐 파도를 만드는 바람을 못 본거요. 파도를 만드는건 바람이었건만....."
2013년 화재작 영화 "관상"의 마지막 피날래 자막이 올라갈때 천재 관상가 내경(송강호분)의 혼잣 말이다.
그 영화 관상의 초반부 내경(송강호분)과 처남 팽현(조정석분), 아들 진영(이종석분)이 살던 바다가 보이는 언덕이 바로 이곳 배넘어고개서
대부산으로 가는 초원에서다.
지난번에 만났던 백구가가 내 앞길을 안내한다.
저 백구를 따라 가면 관상 촬영지 세트장에 이른다고 하는데 난 오늘 유명산을 향해 우틀이다.
CG로 바다가 됐던 양평시내와 흑천의 모습 그리고 문명의 흔적이라곤 멀리 보이는 송전탑이 이곳이 21세기구나 할정도로 아직 때묻지 않은
원시 그대로다.
어제 내린 비가 이곳엔 고스란히 눈이 돼 등로는 30cm 정도 눈이 쌓였다.
아신역에서 배넘이고개까지 택시로 이동하려 했는데 많은 눈으로 용천3리에서 내려 3km 정도를 두발로 올랐다.(10:40)
배넘이고개는 이곳 사람들은 설매재(雪梅峙 610m)라고 부르며 아무리 눈이 많이 내려도 매화가 폈다는 뜻으로 그리 불리기도 하고
많은 눈이 내려 눈꽃이 피면 매화가 핀것처럼 아름답다하여 불리기도 한다.
오늘은 눈꽃이 활짝펴 하얀 매화가 핀것 처럼 아름답다.
원래 이 산 일대에서 말을 길렀다 해서 마유산(馬遊山)이라 불렸다. 대동여지도에도 분명히 마유산으로 나오고 있다.
시집가는 신부의 부푼 꿈과 희망이 묻어나는 지명이다.
다른 이야기로는 신부집 종 부자가가 신부 혼수를 지고 이고개를 넘는데 종의 아들이 주인집 신부를 짝사랑해 심술이 나서 농을 지고
험하게 쿵쾅거리니 애비가 걱정이돼"농다칠라"라고 한데서 유래 했다고 하기도 한다.
사내의 심사가 잘 표현된 지명 이름이다.
"동국여지지" 양근군에 "노다령(勞多嶺)이 군 북부 이십리에 있고 노다치(勞多峙)라고도 칭한다."는 내용이 있다.
다른 자료에는 농다치현(農多峙峴)으로 표기되어 있거나 농현(籠峴)으로 기록되어 있기도 하다.(13:10~40)
옥산(玉山 580m)은 농다치고개를 사이에 두고 소구니산과 연결 돼 있으며 부드러운 산세가 아름답다.
산아래 한화콘도가 자리하고 있어 콘도에 머무는 사람들이 가볍게 오르기 좋은 산이다.
말머리봉(500m)역시 한화 리조트에서 옥산과 연계해서 산행하는 코스로 제법 많은 산꾼이 지난다.
말머리고개를 지나면서부터는 멧선생과 발을 맞추며 지나다 멧선생도 하산을 하고 된고개 까지는 러셀이다.
발목정도 쌓인 눈이 러셀이라 하긴 뭐하지만 아무도 지나지 않은 눈길에 내 발자욱을 남기며 지나는 첫 산행이 정겹고 좋다.
된고개(高峴 380m) 양평군 양서면 중동리 된재 마을에서 제치레미로 넘는 고개로 고개가 높아 오르기 힘들다는 뜻으로 된고개라 부른다.
오늘 산행은 여기까지로 날이 어두워 지기전 된재 마을로 하산이다.(16:10)
남사면이라 하산길 급경사에 눈은 없는데 다음번 접속이 걱정된다.
중동리 된재 마을에서 카카오 콜을 하는데 차가 없단다.
한참을 걸어 마을 중간에서 다시 호출해도 역시다.
네이버에서 검색하여 택시에 전화하니 금방온단다.
카카오 호출은 콜비가 없는데 콜비 포함 8000원의 요금을 지불하고 국수역에서 상봉에 이르러 7호선으로 환승한다.
1. 산행코스
배넘이고개-대부산삼거리-마유산활공장-마유산-소구니산-농다치고개-옥산-말머리봉-말고개-이산봉-된고개
(11.5km, 5시간30분)
2. 산행경로
0709부평시장역
0808용산역
0940아신역
0950용천3리(도보이동시작)
1040배너미고개 출발
드라마 세트장
1140유명산 활공장
1200유명산(862m)
1230소구니산
1300660.8봉
헬기장
1310~40농다치 (포차에서 해물파전에
지평막걸리 점심)
1420옥산 (578m)
1445말머리봉(482m)
1455말고개
1525이신봉(546m)
1610된고개
@. 교통편
부평역-아신역 전철
아신역-배넘이고개 택시 도보
중동리-국수역 택시
국수역-부평구청역 전철이용
3. 산경표
"난 사람의 얼굴을 봤을 뿐, 시대를 보지 못했소.파도만 봤을 뿐 파도를 만드는 바람을 못 본거요. 파도를 만드는건 바람이었건만....."
2013년 화재작 영화 "관상"의 마지막 피날래 자막이 올라갈때 천재 관상가 내경(송강호분)의 혼잣 말이다.
그 영화 관상의 초반부 내경(송강호분)과 처남 팽현(조정석분), 아들 진영(이종석분)이 살던 바다가 보이는 언덕이 바로 이곳 배넘어고개서
대부산으로 가는 초원에서다.
지난번에 만났던 백구가가 내 앞길을 안내한다.
저 백구를 따라 가면 관상 촬영지 세트장에 이른다고 하는데 난 오늘 유명산을 향해 우틀이다.
CG로 바다가 됐던 양평시내와 흑천의 모습 그리고 문명의 흔적이라곤 멀리 보이는 송전탑이 이곳이 21세기구나 할정도로 아직 때묻지 않은
원시 그대로다.
어제 내린 비가 이곳엔 고스란히 눈이 돼 등로는 30cm 정도 눈이 쌓였다.
아신역에서 배넘이고개까지 택시로 이동하려 했는데 많은 눈으로 용천3리에서 내려 3km 정도를 두발로 올랐다.(10:40)
배넘이고개는 이곳 사람등은 설매재(雪梅峙 610m)라고 부르며 아무리 눈이 많이 내려도 매화가 폈다는 뜻으로 그리 불리기도 하고
많은 눈이 내려 눈꽃이 피면 매화가 핀것처럼 아름답다하여 불리기도 한다.
오늘은 눈꽃이 활짝펴 하얀 매화가 핀것 처럼 아름답다.
영화 관상에서 CG 처리됐던 양평시내
용문산 상고대
중미산
영화 왕의 남자에서 공길이
"나여기 있고 너 거기있다.." 하던 그 소나무
용문산
용문사 장군봉능선
눈꽃이 아름다워...
원래 이 산 일대에서 말을 길렀다 해서 마유산(馬遊山)라 불렸다. 대종여지도에도도 분명히 마유산으로 나오고 있다.
눈꽃길이다....
시집가는 신부의 부푼 꿈과 희망이 묻어나는 지명이다.
다른 이야기로는 신부집 종 부자가가 신부 혼수를 지고 이고개를 넘는데 종의 아들이 주인집 신부를 짝사랑해 심술이 나서 농을 지고
험하게 쿵쾅거리니 애비가 걱정이돼"농다칠라"라고 한데서 유래 했다고 하기도 한다.
사내의 심사가 잘 표현된 지명 이름이다.
"동국여지지" 양근군에 "노다령(勞多嶺)이 군 북부 이십리에 있고 노다치(勞多峙)라고도 칭한다."는 내용이 있다.
다른 자료에는 농다치현(農多峙峴)으로 표기되어 있거나 농현(籠峴)으로 기록되어 있기도 하다
농다치고개
옥산
말머리봉
멧선생 크기가 상상이된다.
가야할 청계산
옥산(玉山 580m)은 농다치고개를 사이에 두고 소구니산과 연결 돼 있으며 부드러운 산세가 아름답다.
산아래 한화콘도가 자리하고 있어 콘도에 머무는 사람들이 가볍게 오르기 좋은 산이다.
말머리봉(500m)역시 한화 리조트에서 옥산과 연계해서 산행하는 코스로 제법 많은 산꾼이 지난다.
말머리고개를 지나면서부터는 멧선생과 발을 맞추며 지나다 멧선생도 하산을 하고 된고개 까지는 러셀이다.
발목정도 쌓인 눈이 러셀이라 하긴 뭐하지만 아무도 지나지 않은 눈길에 내 발자욱을 남기며 지나는 첫 산행이 정겹고 좋다.
된고개(高峴 380m) 양평군 양서면 중동리 된재 마을에서 제치레미로 넘는 고개로 고개가 높아 오르기 힘들다는 뜻으로 된고개라 부른다.
오늘 산행은 여기까지로 날이 어두워 지기전 된재 마을로 하산이다
'이 또한 지나가리 > 한강기맥(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강기맥 13구간 종주(된고개-쳥계산-송골고개-319봉-벗고개-389봉-466봉-갑산공원-양서고등학교후문) (0) | 2018.02.11 |
---|---|
한강기맥11구간 종주(비솔고개-싸리봉-단월봉-문례봉.폭산-용문산-배너미고개) (0) | 2017.12.06 |
한강기맥 10구간종주(신당고개-408.9봉-273번철탑-통골고개-밭배고개-송이재배봉-소리산-비솔고개) (0) | 2017.11.16 |
한강기맥 9구간종주(상창고개-양지봉-금물산-성지지맥분기봉-시루봉-발귀현-갈기산-신당고개) (0) | 2017.11.04 |
한강기맥 8구간종주(작은삼마치-684봉-통신부대임도-통신부대정문-오음산-673봉-삼마치-귀영고개-임도-상창고개) (0) | 2017.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