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1월27일 수요일 맑은후 진눈개비 천사랑 산악회원이랑
가인 산악회(구 산까치) 태백산 산행일정에 참여했다.
유명한 산인데 태백산은 처음이다.
눈세상을 기대했지만 눈은 이미 다녹고 등산로에 다져진 눈만 겨울산의 정취를
남겨주고 있었다.그래도 고산인지라 다져진 눈이 빙판길이라 아이젠을 신고 산행.
남쪽 지리산에서 북으로 뻗은 모든 산들이 태백산에 모여 그 정점을 찍고 북으로북으로
백두산까지 이어지는 우리 산의 중심에 있는산 답게 정상에서 끊없이 이어지는 산들의
행진은 장관이라 아니할수 없다. 함백산이 보이고 매봉산 풍력발전시설이 바라보이는
태백정상은 반도 이남의 모태가 되는 산임에는 틀림없다.
먼산의 풍경에 잠시 시선을 돌리면 주목군락지의 거목들이 가히 천년을 살고 천년을
버틴다는 그 고사목이 눈에 들어온다.
충분히 고산의 정취를 만끽하지만 산행은 여느 고산처럼 힘들지 않다.
높고 웅장하지만 부드럽고 포근히 안아주는 어머니 가슴같은 산이다.
지리산이 웅장하고 남성답다면 태백산은 여성미가 풍부한 포근함이 있다.
부드러운 산길을 헤치고 만나는 천제단, 문수봉의 바위벼랑이 그나마 여기가 산이다 하는
느낌을 줄정도로 태백산 산행은 쉽다. 그래서 겨울산에 이리 많은 산님이 몰려오나 보다.
지난 주말엔 산행이 불가능할정도였다니....오늘도 주중인데 수천은 족히 넘을 산님이
온산에 넘쳐난다.
파장분위기의 당골계곡의 태백산 눈축제를 들러 물러가는 겨울 끝자락을 함께 부여 잡아보고
석탄박물관의 잘정돈된 모습은 탄광의 힘들고 고단한 삶보다는 눈요기에 급급한 화려함이
자칫 우리 석탄 산업의 어둔 그림자는 감춰버린것같아 씁쓸하기도 했다.
산행을 마칠무렵에는 펑펑 함박눈이 내려 갈길먼 산님들을 불안케 했지만 다행히 포근한
날씨덕분에 귀향하는데 교통불편은 없었다.
1. 산행코스
유일사 입구주차장-유일사갈림길-주목군락지-장군봉 -태백산 천제단-부쇠봉
- 자작나무 군락지--문수봉-오갈피나무 군락지-신선바위-당골주차장(4시간 20분)
2. 산행경로
06:50분 - 만수동 출발
11:00분 - 유일사 주차장도착
유일사 입구 갈림길
유일사
주목군락지
12:30분 - 장군봉(1567m)
장군봉 아래 양지바른곳에서 정상주들 하는데...
이것저것 싸온 음식 나눠먹고 얻어먹고....ㅋㅋ
천제단
천왕단-장군단-하단
부쇠봉
자작나무 군락지
13:40분 - 문수봉
많은 산을 다녔지만 온산이 부드러운 육산인데 정상부가 이렇게 벼랑으로
이루어지다니....변화무쌍하다고 할까?
신선바위
병풍바위
15:00분 - 눈축제장
석탄박물관
15:30분 - 당골주차장
당골식당에서 된장찌게로 늦은점심
아무리 유원지라지만 된장찌게 6000원짜리가 이럴수가...
모두 불만이지만 그냥참자고 ???
태백시청은 한번쯤 돌아봤으면 축제라고 사람모아서 바가지 요금이 아직도...ㅉ ㅉ
17:20분 - 당고주차장 출발
21:30분 - 만수동 도착
3. 태백산 개념도
유일사 매표소
성인 2000원 단체 30명이상 1500원
넘 비싸지 않나요? 국립공원은 무료인데....
눈이 수도권처럼 많이 오지는 않은듯 겨울내 다져진 눈길
유일사
유일사 갈림길에서 100m정도 내려가 ....
주목군락지
장군봉 정상에서 뒤로 함백산이...
천왕단
장군단
태백산
높이 1,567m. 한반도 척량 산맥인 태백산맥의 주봉이며, 이곳에서 소백산맥이
갈라져나와 남서쪽으로 발달한다. 흰모래와 자갈이 쌓여 마치 눈이 덮인 것 같다 하여
태백산이라 불렀다고 하며, '크고 밝은 뫼'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신라 5악 중 북악이었으며,
한국의 12대 명산의 하나로 꼽힌다. 또한 우리나라 삼신산의 하나로 예로부터 영산(靈山)으로
추앙받아왔다. 이 산을 중심으로 함백산(1,573m)·청옥산(1,277m)·구룡산(1,346m) 등과
함께 주위 20㎞ 내외에 1,000m 이상의 봉우리들이 100여 개나 연봉을 이루고 있어 하나의 거대한
산지를 이루고 있다. 능선은 북서-남동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곳곳에 암석이 노출되어 있고 깊은
계곡들이 발달했다. 태백산을 중심으로 강원도와 경상북도의 지리적·문화적·역사적인 경계가
나뉜다. 산정 부근에는 중생대 말기 이후 지반의 상승운동으로 형성된 비교적 넓은 고위평탄면이
나타난다. 북쪽과 북서쪽 사면은 완만한 경사를 이루나, 나머지 사면은 급경사이다. 서쪽 사면에서
발원한 계류는 남한강의 지류인 옥동천으로 흘러들며, 동쪽·남쪽·북쪽 사면에서는 황지천의 지류가
발원하여 낙동강의 상류를 이룬다. 일대의 지질구조는 시생대 변성암류, 고생대·중생대 퇴적암류,
중생대 화성암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후는 대륙성기후의 특성이 뚜렷하며, 연평균기온 10℃
내외, 연평균강수량 1,100~1,200㎜이다. 토양은 주로 갈색삼림토이다.
노란만병초·태백말발도리·노랑무늬붓꽃 등을 비롯한 수종의 희귀식물이 서식하며, 식생의 수직적
분포가 나타난다. 하천주변에는 갈대·버들·물봉선화 등이 자라고, 산록에는 밤나무·상수리나무·
아까시나무를 비롯한 낙엽활엽수림이 울창하다. 산중턱에는 고로쇠나무·너도밤나무·소나무·
졸참나무 등 혼합림이, 그 위로는 사스래나무·신갈나무·자작나무 등이 자라며, 산정에는 주목군락
(강원도 보호림)·분비나무·잣나무를 비롯한 침엽수림이 자란다. 참새·무당새·촉새·박새·
노란할미새·꾀꼬리·종다리 등 90여 종의 조류, 25종의 포유류, 340여 종의 곤충류, 청개구리·금개구리·
두꺼비 등 양서류, 참종개·열목이·연준모치·긴물개·수수미꾸라지·버들개·자가사리 등의 희귀종을
포함한 어류들이 서식하고 있다.
태백산은 남한 제1의 부존자원지역으로 예로부터 삼림자원이 풍부했다. 특히 춘양목으로 알려진
소나무가 많았는데, 일대에 광산이 개발됨에 따라 갱목으로 벌채하고 그 자리에 잡목·적송 등을
조림하여 지금은 낙엽수림이 울창하다. 또한 석탄·석회석·중석·철광석·흑연 등 지하자원이
풍부하여 일찍부터 광업이 발달했다. 1930년대에 삼척개발주식회사를 설립하고 채탄작업을
시작했으며, 이때부터 태백산과 함백산 기슭에 광산취락이 형성되었다. 8·15해방 후 도계·장성
광업소를 중심으로 채굴했으며, 1960년대에 들어 주탄종유(主炭從油) 정책이 실시되면서
황지를 중심으로 고한·사북·함백 등지에서 본격적인 채탄작업이 행해졌다. 또한 태백산의 서쪽
기슭인 영월군 상동읍에는 대규모 중석(텡스텐) 광산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자원을 수송하기
위한 산업철도인 태백선이 부설되고 전철화되면서 장성과 황지가 통합해서 태백시로 승격하는 등 1970년대 이후 탄광취락의 도시화가 이루어졌다.
남쪽 기슭에는 조선 후기 〈조선왕조실록〉을 보관한 태백산사고(太白山史庫)가 있으며,
정상에는 매년 개천절에 단군에게 제사를 지내던 천제단(天祭壇)이 있다. 또한 북쪽 정선군
고한읍 고한리에 있는 정암사는 태백산의 대표적인 문화유물로 당나라에서 가져온 부처의 사리를
봉안하기 위해 세운 수마노탑(보물 제410호)이 있다. 이곳은 예로부터 계룡산과 함께 민간신앙의
중심지로, 산신당을 비롯한 기도처가 곳곳에 많았는데 1970년대 토속신앙을 정화할 때 대부분
철거되었다. 그밖에 백단사·덕원사·망경사·유일사·단군각 등이 있다. 일대에는 백천계곡·
학산폭포와 석회동굴지대인 대이리동굴지대(천연기념물 제178호) 등의 명소가 많다. 또한 높이에
비해 산세가 비교적 부드럽고 풍치가 중후하여 등산지로도 알려져 있으며 1989년 5월에 소도동·
문곡동·금천동 일대 17.44㎢가 태백산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소도동-당골-망경사-산정으로
이어지는 등산로가 있으며, 겨울에 적설량이 많아 겨울 등반지로 인기가 있다. 대추·고추·
송이버섯 등의 특산물이 생산된다. 관광 호텔을 비롯한 숙박시설과 각종 편의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시내에서 소도동까지 버스가 운행된다.
문수봉
하단
천제단
천제단은 옛 사람들이 하늘에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설치한 제단으로 삼국사기를 비롯한 옛 기록에
"신라에 서는 태백산을 3산 5악(三山五岳) 중의 하나인 북악(北岳)이라 하고 제사를 받들었다"
라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영산(靈山)으로 섬겨 왔음을 알 수 있다.
태백산 정상에 위치한 천제단은 천왕단(天王檀)을 중심으로 북쪽에 장군단(將軍檀), 남쪽에는
그보다 작은 하단의 3기 로 구성되었으며 적석으로 쌓아 신 역(神域)을 이루고 있다. 이곳에 있는
천왕단은 자연석으로 쌓은 둘레 27.5m, 높이 2.4m, 좌우폭 7.36m, 앞뒤폭 8.26m의 타원형이며,
녹니편마암의 자연석으로 쌓아져 있는데 윗쪽은 원형이고 아래쪽은 사각형 이다. 이러한 구도는
천원지방(天圓地方)의 사상 때문이다.
단군조선시대 구을(丘乙)임금이 쌓았다고 전해지는 이 제단은 상고시대 부터 하늘에 제사하던
제단으로 단군조선시대에는 남태백산으로 국가에서 치제하였고, 삼한시대에는 천군이 주재하며
천제를 올린 곳이다. 신라초기에는 혁거세왕이 천제를 올렸고 그 후 일성왕이 친히 북순하여
천제를 올렸으며 기림왕은 춘천에서 망제(望祭)를 올렸다.
고려와 조선시대를 거치는 동안 방백수령(方伯守令)과 백성들이 천제를 지냈으며 구한말에는
쓰러져가는 나라를 구하고자 우국지사들이 천제를 올렸고, 한말 의병장 신돌석 장군은 백마를 잡아
천제를 올렸고 일제때는 독립군들이 천제를 올린 성스런 제단이다. 지금도 천제의 유풍은 면면히
이어지고 있으며 산꼭대기에 이같이 큰 제단이 있는곳은 본토에서 하나밖에 없다.
천제단은 다른 이름으로 구령단(九靈壇) 또는 구령탑(九靈塔)이라 하고 마고탑(麻姑塔)이라
하기도 한다.특히, 해마다 개천절에는 이곳에서 제사를 받드는데 중앙에 태극기(太極旗)와
칠성기(七星旗)를 꽂고 주변에는 33 천기(天旗)와 28수기(宿 旗)를 세우며 9종류의 제물을 갖춘다
이 주변의 계곡 일대에는 치성을 드리는 기도처 로 사용된 크고 작은 적석탑과 석단들이 있으며
함부로 짐승을 잡거나 나무를 꺽는 일 을 금하고 있다.
살아천년 죽어천년
자작나무 군락지
뒤로보이는 매봉산 풍력단지
문수봉 정상
병풍바위
태백산 눈축제
태백 석탄박물관